-
임신에대해 자세히알아보고 임신이 되는 과정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신의과정과증상 1. 임신이란?
임신은 여성의 자궁 안에서 수정란이 착상한 순간부터 엄마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으며 태아로 발달하는 생물학적 과정으로 임신기간은 대략 280일 정도입니다.
일반적인 임신 기간은 40주이지만 37주에서 42주 사이로 다양할 수 있습니다.
임신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뉘며 보통 각각 3개월 정도 지속됩니다.
임신 초기에는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면서 태반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아기의 장기와 신체 시스템이 발달하기 시작하고 엄마는 입덧, 피로,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임신 중기에는 입덧이 끝이 나면서 컨디션도 점점 안정화되는 시기이고 임신 후기에는 아기의 성장이 빨라지면서 엄마의 몸은 계속 변화합니다. 아기는 움직이고 외부의 자극에 반응할 수 있으며, 엄마는 이러한 움직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식욕도 증가할 수 있고, 속 쓰림, 변비 또는 다른 소화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엄마의 몸은 골반을 비롯해 점점 출산을 위해 변합니다. 출산을 준비하면서 자궁 내 아기의 위치가 바뀔 수 있고 출산은 자연분만, 제왕절개의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진통과 분만 과정은 개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통은 점점 강해지고 가까워지는 수축을 수반해 아기가 태어납니다. 출산 후 산모가 모유 수유를 선택하면 임신 전 상태로 돌아가면서 엄마의 몸에 변화가 생깁니다. 또한 모유 수유하거나 하지 않아도 젖몸살이 오게 되는데 가슴이 단단해지면서 아프고 열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마사지를 하거나 열을 내려주는 냉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임신 중 체중은 10~16kg 정도 늘어나기도 하고 체중의 증가는 대개 임신중기 입덧이 끝나는 시점부터 시작되며, 후기가 되면 더 급격히 증가하기도 합니다.
20kg 이상의 체중이 늘어나면 아기가 너무 커져서 출산의 어려움이 생기거나 임신성 고혈압이 발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임신 중 체중 관리는 아기와 산모의 건강을 위해서 필수로 관리해줘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임신 과정은 엄마와 발달 중인 태아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태교와 운동은 임신과 성공적인 출산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임신의 과정
임신 과정은 크게 체내 수정과 체외 수정으로 나누어집니다.
- 체내 수정
체내 수정은 보통 나팔관에서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할 때 시작됩니다. 수정란은 거기서 나팔관을 따라 자궁으로 들어가고, 수정 후 7~8일 정도 되면 자궁 내벽에 착상됩니다. 착상된 이후를 임신이라고 하며, 수정란은 자궁 내벽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고 9개월 후에 태어납니다. 수정란은 분열되어 배아로 형성되기 시작하고, 배아는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태아로 발전합니다. 이 시기에는 태반도 형성되는데 이 태반은 발육 중인 태아에게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면서 노폐물을 제거합니다. 임신 기간 동안 엄마의 몸은 발달하는 태아를 지탱하기 위해 많은 변화를 겪습니다.
성장하는 태아를 수용하기 위해 자궁이 늘어나고 확장되는 것을 돕기 위해 호르몬이 분비되고, 엄마의 심혈관계도 엄마와 태아 모두에게 충분한 혈액과 산소를 공급하는 변화를 겪습니다. 임신 중에는 산모와 발육 중인 태아의 건강을 감시하기 위해 정기적인 태아 관리가 필수이고, 일반적으로 신체검사, 초음파 및 태아의 건강을 확인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임신이 막바지에 이르면 산모의 몸은 출산을 준비하기 시작하고 수축의 시작과 아기가 산도를 통과할 수 있게 자궁경부가 부드러워지고 가늘어지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수반할 수 있습니다.
- 체외 수정
체외 수정은 시험관이나 인공수정을 통해서 수정을 일으키는 걸 말합니다.
배란의 주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정자의 수가 적다거나, 임신이 어려운 난임 부부들을 위한 기술입니다.
여성은 과배란 주사를 맞거나 약을 먹어서 난자를 채취하고 남성도 정액을 채취한 뒤 채취한 난자와 정자를 체외에서 수정시킨 후 수정란이 된 것을 확인하고 자궁 안으로 2~3개 정도를 넣어준 뒤 착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3. 임신 확인과 증상
일반적으로 관계 2주 후 생리 예정일을 지났거나 생리 시작 3일 전부터 HCG 호르몬 농도가 높아지므로 임신테스트기로 임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신이 확인되면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피검사, 소변검사 등의 검사를 받게 됩니다. 극초기인 경우엔 초음파로 아기집만 확인이 가능하거나 확인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테스트기로 임신을 확인했다면 며칠 간격으로 더 확인해 보고 첫 확인일로부터 2~3주 정도 후에 가게 되면 아기집은 물론 심장 소리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임신의 증상으로는 체온이 오르거나, 생리 지연, 가슴 통증, 구토, 아랫배 통증, 몸살, 소량의 출혈 등이 있고 생리 전 증후군과 증상이 비슷하여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있으니 임신을 계획했거나 증상이 있으면 꼭 테스트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리통 증상과 완화 방법 (0) 2023.03.16 물이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 (0) 2023.03.15 분만의 종류와 방법 (0) 2023.03.13 임신주기 초기,중기,후기 (0) 2023.03.10 입덧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식품과 임신 중 피해야 하는 식품 (0) 2023.03.09